사내 지식 전문가로서 성인 학습을 이해하고 교수 기법과 교육 기획력을 높여 사내 강사의 자질과 능력을 키운다.
속도 경영과 교육 효율화를 위해 일터 학습 고도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직무 노하우 교육을 위해서는 조직 내부정보를 잘 알고, 사업분야나 용어에 익숙해야 하며, 업계 관행을 이해하는 교수자가 필요합니다. 조직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내 강사를 통해 외부 강사가 할 수 없는 영역의 지식 전문가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사내 지식 전문가로 절차, 해석, 용어 의미,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고 강의 기술의 향상으로 지식 전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조직 구성원의 롤모델로서의 태도, 마인드를 갖춰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인재로 성장 할 수 있습니다.
| module | 주요 내용 |
|---|---|
|
M1. 사내강사 [마인드 셋] |
사내강사로 산다는 것 - 사내강사의 역할과 책임(사내강사 직무 수행, 교육 훈련에 대한 강의, 평가, 개선)- 사내강사의 기본 자질(교육훈련의 전문성, 교과목 연구, 교재 및 교안 작성) 성인학습의 이해 - 성인교육의 특징과 범위 및 성인 학습 심리의 이해- 성인 학습자의 동기(목적지향적, 학습지향적, 활동지향적) - 성인지도원리(근접성/적합성/동기부여/우선성/양방향 소통/피드백/참여학습/반복학습/다중감각) 강사 마인드 셋 - 나는 어떤 강사인가? (학자형, 엔터테이너형, 코치형, 퍼실리테이터형, 멘토형)- 강사의 성향 분석 및 강의 스타일 적용 |
|
M2. 강사 기초과정 [체계적 교수설계] |
강의의 품질을 결정하는 교수 설계 - 교수 설계란?(강의의 시작과 끝은 교수 설계에 달려있다)- 체계적 교수 설계를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과 목표 설정 / 강의 계획 설계 / 강의 방식 설정 - 효과성(effectiveness), 효율성(efficiency), 매력성(appeal) 강의 기획 - 콘셉트 만들기(스토리텔링 기법, 주제어 기법, 사례 재해석 기법, 현상 기법, 이론 기법)- One Message 와 주제를 위한 케치프레이즈, 슬로건 문안 만들기 - 대상자의 Needs와 Wants 강의 구조 만들기 - 강의 주제에 따른 구조 만들기- 강의의 흐름 만들기 (기-승-전-결, 서론-본론-결론, 도입-전개-결말) - 강의에 집중하게 만드는 전략적 구성을 위한 컨텐츠의 활용 및 개발 |
|
M3. 강사 메이킹 [보이스 트레이닝] |
신뢰받는 목소리 만들기 - 목소리도 기본부터(발음의 중요성과 구강 구조 이해)- 목소리도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 아나운서의 목소리를 신뢰하는 이유 강의 내용 강조를 위한 띄어 말하기와 톤 조절 - 말하기 스킬 A to Z 이해하기- 숨 쉬는 곳과 끊어 말하기로 강조하기(one message 전달법) - 톤으로 분위기 조절하기(크게 말한다고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보이스 트레이닝을 위한 복식호흡 - 흉식 호흡(빠르게 많은 내용을 전달할 때)- 복식 호흡(강의 시간이 길거나 안정적인 목소리를 유지할 때) |
|
M4. 설득력을 높이는 스토리텔링 |
이야기의 힘(스토리텔링) - 구전 동화와 전래 동화가 이어지는 이유- 에피소드(사례, 경험)를 스토리로 만들기 스토리텔링의 요소 - 학습자를 몰입하게 만드는 EOS 구조- 구성력, 표현력, 메시지, 피드백의 활용 - 베스트셀러 소설과 흥행하는 영화 시나리오의 스토리 사례 스토리텔링으로 강의 안 구성하기 - 3단, 4단, 5단 구조 나누기- 강의 장표에 핵심 메시지를 정리하여 스토리화 하기 - 자연스러운 연결고리 찾기 |
|
M5. 강사 기본과정 [성인 교수 기법] |
교수 기법의 이해 - 강의 주제, 목적, 인원, 직급,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교수 기법-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항목(학습집단의 단위, 통제의 중심, 환경) 다양한 교수 방법과 특징 - 강의식 교수법/토의식 교수법/사례연구법/질문 기법/사례 대처법/게임 기법- 교유 대상을 고려한 교수방법과 혼합구성법 - 교수 방법의 특징의 결합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트 작성 강의 컨텐츠 마이닝 - 최근 이슈의 사례를 찾아라(방송 매체의 활용, SNS의 활용, 트렌드의 활용)-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아이디어 모으기_브레인 스토밍, 브레인 라이팅, 스캠퍼, 열거법, 나열법) - 주제에 맞는 관련 근거의 확립(전공서적 활용, 논문의 인용, 학술지 검토) 프로강사의 꿀팁 배우기 - 대상에 따른 강의 스킬(학습자의 공감 영역 활용, 교보재의 활용, 교수방법의 변화)- 집중력을 올리는 방법(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법, 강약의 활용, 동선의 활용, 컨텐츠와 스토리의 활용) |
|
M6. 시험 강의 및 상호 피드백 |
강의안 발표(인당 15분) - 발표 시 강의 평가표에 따른 강의 피드백 작성- 강의 목적, 학습 효과, 대상 파악, 주제, 내용 등의 분배 지속적인 피드백 훈련 - 셀프 피드백을 위한 촬영 기법- 강의 사례 노트 작성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