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공정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공정한 평가를 위한 원칙과 방법을 정리할 수 있다.
조직관리 패러다임이 통제중심에서 자율중심으로 전환하며 성과관리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MBO, BSC, OKR 등 평가방식의 도입, 전환, 혼용하며 구성원 이해, 확산이 요구되며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성과평가를 수행하도록 평가 이슈와 방향성의 정립이 필요합니다.
기대보다 높은 목표설정/촉진이 가능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주도적 업무 수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담 계획, 준비 진행 시 적용할 수 있는 면담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module | 주요 내용 |
|---|---|
|
M1. 성과와 성과관리의 의미 |
성과(Performance)의 의미 - 팀장에게 [성과]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관리의 4가지 기능(Planning / Organizing / Leading / Controlling) - 관리자의 4가지 역할과 성과관리의 중요성 성과관리의 의미 - 성과관리의 개념과 핵심 요소- 모두가 도움되는 성과관리란? (조직 규범 준수, 구성원 학습과 성장, 조직 성과 향상) |
|
M2. 평가의 의미와 공정성 |
성과관리 프로세스 - Plan(목표 설정과 계획 수립) → Do(수행 과정 지원) → See(평가와 보상)- 단계별 팀장 관리 포인트 평가의 의미 - 평가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Global 기업들의 평가 패러다임 파악 -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Padlet] → 공정성과 투명성 이슈 평가 공정성 확보 - 공정성 확보의 전제조건 : 평가기준의 합리성, 평가진행 공정성, 보상 공정성→ 수용성- 팀장이 평가에서 범하기 쉬운 오류들 - 평가의 영역과 방법 리뷰(업적 및 역량 평가) → 올바른 평가 방법 |
|
M3. 면담의 기초 스킬 |
면담의 목적과 중요성 재 인식 - 평가면담의 중요성 / 현업의 면담 시 주요 이슈들은?면담 시 대화 스킬 - 말하기 기본 원칙 ; 대화의 3요소 활용하기(Body-language / Voice /Word)- 제대로 말하기 : 간결하게 말하기, 나-전달법, 희망화법, 긍정화법 - 상대의 마음을 여는 경청 : 적극적 경청, 공감적 경청(감정 빼주기) |
|
M4. 평가면담 프로세스 |
평가 면담 프로세스 - 평가면담 프로세스(자기평가 → 예비평가 → 평가 면담 → 최종 평가 확정 → 평가 전달)평가 면담 계획 수립 방법 - 평가면담 전 점검 사항(체크리스트, 일정관리, 면담의 방향과 주요 쟁점 정리)평가 면담 진행 - 면담 시작 → 최초 목표 확인 → 실제 달성 결과 확인 → 상사 평가 결과 제시 → 피드백 제공 → 다음 목표 계획 및 실천 사항 → 면담 요약 → 지지와 격려평가 면담 시 주요 이슈[Padlet] 와 대처 방안 1) 제가 왜 “C”예요?2) 중간에 제 MBO / KPI 바뀌었는데요? 3) 그냥 알아서 주세요 4) 제가 언제요? 5) 마당쇠 역할은 제가 다했는데요? 평가 면담 실습(Role Playing) - 면담 상황 검토 → 면담 계획 수립 → 3인 1조 면담 실습(소회의실) → 전체 공유(Best)- RP에 대한 Facilitator의 피드백과 코칭 제공 |
|
M5. 실천계획 수립 |
성찰과 다짐 : Feel(느낀점) / Learn(새롭게 알게 된 것) Action Plan : Let Go(버릴 것) / Keep(유지할 것) / Add On(추가할 것) |